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삼부토건(001470 KOSPI) 유망주 분석

by emfpdlsaos 2022. 7. 3.
반응형

1. 기업 현황

7월1일 주가
7월1일 주가

. 금일 매매 동향

. 투자정보

< 기업개요 >
동사는 1948년 설립하여 1955년 설립등기를 하였으며, 1976년 기업공개를 함.


동사의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부문으로는 국내건설업부문, 해외건설업부문, 스틸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로공사, 발전소, 철구조물 제작 및 설치를 함.


74년간의 풍부한 토목시공 경험을 토대로 항만, , 도로, 지하철, 발전소 등에서 기술적 노하우와 시공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시가총액
4,485 억원

52주 최고/최저
4,170 / 1,430
PER/EPS(2022.03)
21.52/ 1,617
상장주식 187,673,375

2. 종목분석

. 이슈 분석

- 제2 중동 붐

총사업비 5,000억 달러(약 640조 원)에 이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세계 최대 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네옴(NEOM) 시티' 수주 대전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모습. 네옴(NEOM) 시티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북서부 홍해 인근 2만 6,500㎢ 부지에 서울의 44배 면적 미래도시를 짓는 프로젝트로 우리나라 올해 예산(607조 원)을 뛰어넘는 거대한 사업이며, 국내 업체들이 대규모 수주에 성공할 경우 '2의 중동 붐'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음.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삼부토건(001470)이 우크라이나 전쟁 복구 재건 사업에 참여 소식에 4 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30일 오전 927분 삼부토건은 전일보다 90(3.93%) 오른 23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부토건은 디와이디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디와이디는 지난 23일 삼부토건, 유라시아경제인협회 등 3자가 우크라이나 전쟁복구 재건 사업과 관련한 업무협력 양해각서를 맺었다고 밝혔다. 디와이디는 삼부토건 인수를 진행 중이다.

삼부토건의 전후 복구 사업 참여 소식이 전해진 지난 23일 삼부토건의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 국내 건설경기부양

주목해야 할 점은 윤석열 정부의 최대 과제도 역시 경기부양인데 이 문제는 과거 보수정권이 전통적으로 택했던 개발&건설 사업을 통한 경기부양에 나설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주식시장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오랫동안 침체기를 보내온 건설 분야는 새로운 트렌드로 인식될 여지가 많다.

그리고 현재 위와 같은 대규모의 개발과 건설을 할 수 있는 곳은 새만금이며 이미 윤석열 대통령이나 안철수 인수위를 통해서도 언급된 바 있다.

. 기술적 분석

- 삼부토건 분석 포인트.

삼부토건은 현재 우크라이나 재건 이슈에 따른 단기적 모멘텀 이외에 기술적 측면에서 특별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음. 그러나 삼부토건 분석의 포인트는 우크라이나 단일 이슈의 단기적인 측면보다는 건설경기의 부활이라는 중, 장기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야 함.

따라서 현재의 주가의 움직임이나 매매 동향은 단기적 상승 파동의 관점보다는 주가의 저점에서 매집 여부의 판단에 관점을 두어야 함.

- 매집의 모습

삼부토건은 현재 단기적 상승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봉을 보면 윗 꼬리가 달리는 형태이나 분봉으로 보면 상승과 하락을 되풀이하며 매집의 모습으로 판단됨.

  • 삼부토건 일봉 차트

일봉차트
일봉차트

  • 삼부토건 분봉 차트

 

분봉차트
분봉차트

3. 결론

삼부토건은 건설 관련 분야가 우크라이나 재건, 제2 중동 건설 붐, 윤석열 정부의 정책(새만금 개발 등) 등으로 장기 침체 국면에서 벗어날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주가의 위치도 역사적 저점에 위치함.

따라서 낙폭과대 + 건설경기 부활 + 윤석열 정책 관련주의 3가지 조건을 갖춘 삼부토건의 중, 장기적 전망은 긍정적임.

또한 현재 시장의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주가가 저점에 위치해 있고 대한민국 건설 면허 1호의 1 삼부토건에 대한 투자는 투자의 리스크를 줄여주는 방어적 투자로도 유효함.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가 및 급등종목2022-07-05  (0) 2022.07.05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07-04  (0) 2022.07.04
오늘의 특징주2022-07-01  (2) 2022.07.01
샘표(007540 KOSPI) 유망주 분석  (0) 2022.07.01
오늘의 테마시황2022-06-30  (0) 2022.06.30

댓글